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정보를 알려드리고 싶은 연이입니다! 지진은 특히 환태평양 지역에서 매우 파괴적인 자연재해입니다. 지진 발생 후 집은 엉망이 되고 수도와 전기가 끊길 수도 있습니다. 지부 안팎에서의 피해와 부상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대비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습니다.
지진 대비 계획 짜기
1. 가정용 또는 직장용 재난 대비 계획 짜기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대비를 해두어야 한다. 함께 계획을 짜고 자주 살펴본다.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을 알아두는 것이다. 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건물 내 가장 좋은 대피 장소. 튼튼한 책상과 테이블 아래와 강한 내부 문틀 안이 좋은 대피 장소이다. 마땅한 대피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내부 옆 바닥에 엎드려 머리와 목을 보호한다. 커다란 가구, 거울, 외부벽, 창문, 주방 찬장, 고정시키지 않은 무거운 물걸에서 멀리 떨어진다.
- 갇혔을 경우 구조 신호를 보내는 방법. 무너진 건물에 수색을 하는 구조대원들이 소리를 들을 것이다. 세 번 반복해서 두드리는 소리를 내거나 비상용 호루라기가 있으면 호루라기를 분다.
- 숙련될 때까지 연습. 대비계획을 자주 연습한다. 실제로 지진이 일어나면 대처할 시간이 몇 초밖에 없다.
2.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을 익숙해질 때까지 연습하기
실제 지진이 발생하면 행동요령에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지진이 발생하면 바닥에 엎드려, 튼튼한 책상이나 테이블 아래로 들어가 꽉 잡는다. 흔들림이나 떨어지는 물건에 대비한다. 어디에 있건, 언제 지진이 발생하건 상관없이 안전한 장소로 갈 수 있도록 집안의 모든 방에서 행동요령을 연습한다.
밖에 있는 경우에는 나무와 건물 등 떨어지거나 무너질 수 있는 것에서 떨어져 개활지로 이동한다. 바닥에 엎드려 머리를 감싸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보호한다.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머문다.
3. 기본적인 응급처치와 심폐 소생술 배우기
지역에 응급처치를 가르쳐 주는 곳이 있을 것이다. 지역 적십자에서는 매달 가장 흔한 부상과 상황에 대처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가르쳐주는 강좌를 개최한다.
- 강좌를 들을 수 없는 경우에는 기초 응급처치책을 사서 집안에 비상 용품을 둔 곳에 같이 둔다. 구급상자를 갖추는 것도 도움이 된다.
4. 지진 발생 후 가족들의 집결 장소 정하기
건물과는 떨어져 있어야 한다. 집결 장소에 오지 못한 사람이 생겼을 경우 해야 할 일을 정한다. 대피소(시에서 지정)가 있는 경우에는 가족들 모두 집, 학교, 직장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알아둔다.
- 타지에 사는 이모나 삼촌 등 가족들이 전화를 해서 서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사람을 정해놓는다. 어떤 이유에서든 가족들이 서로 연락이 되지 않을 때 이 사람에게 전화를 걸어 가족들이 만날 수 있게 한다. FRS(Famil.y Radio Service, 가족용 무전기)과 GMRS(General Mobile Radio Service, 일반 휴대용 무전기)로 서로 연락을 취한다.
미국에서는 GMRS는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서 면허를 받아야 한다. 재난 시에는 전화가 불통이다.
전파가 64km까지 가는 FRS와 GMRS도 있다.
5. 전기, 가스, 수도 등을 차단하는 방법
특히 가스 차단하는 방법을 잘 알아둔다. 가스관이 터지면 인화성 가스가 누출된다. 방치해두면 매우 위험한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가스 냄새가 나면 재빨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가스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두어야 한다.
6. 비상 연락망을 작성해서 공유하기
비상 연락망에 집, 직장 등 모든 사람의 연락처가 포함된다. 그리고 모두에게 평소 연락처 외에 비상 시 연락처도 받아둔다. 다음과 같은 정보도 기재한다.
- 이웃의 이름과 전화번호
- 집주인의 이름과 전화번호
- 중요한 의료 정보
- 소방서, 의료기관, 경찰, 보험사의 비상 시 연락처
7. 지진 발생 후 집으로 갈 경로와 방법 마련해두기
지진은 언제 발생할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지진 발생 시 직장, 학교, 버스 안, 열차 안에 있을 수도 있다. 도로와 다리를 오랫동안 이용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집에 갈 방법을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한다. 다리 등 위험할 수 있는 구조물을 파악하고 이를 피해갈 수 있는 경로를 알아본다.
지진 대비 용품 준비하기
1. 미리 용품을 준비하고, 가족 모두에게 알려주기
지진이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 집안에 며칠 동안 갇혀있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때 버틸 수 있도록 필요한 용품을 갖추어 놓아야한다.
집이 크거나 4-5명 이상의 대가족인 경우에는 여분의 용품을 준비해서 집안 곳곳에 놓아둔다.
2. 3일 이상 버틸 수 있는 비상용 식품과 식수 구입
1명 당 물이 4리터 가량 필요하다. 비상 시에는 좀 더 필요하다. 비상식량을 개봉하기 위한 통조림 따개도 마련해둔다. 다음과 같이 잘 상하지 않는 식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 통조림 (과일, 야채, 콩, 참치 등)
- 가공처리한 크래커와 짭짤한 스낵
- 캠핑 음식
3. 태양열이나 수동 크랭크를 사용하는 손전등이나 라디오를 구입하거나 일반 손전등과 여분의 배터리 구입하기
손전등은 한 명당 하나씩 있는 것이 좋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라디오도 준비한다. 태양열이나 수동으로 움직이는 모델도 있는데 장만해두면 배터리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 만일을 위해 야광봉, 성냥, 양초도 구입한다.
4. 구급상자를 만든다.
- 붕대와 거즈
- 항생제 연고와 소독용 알코올 티슈
- 진통제
- 광범위 항생제
- 지사제 (응급 시 설사를 멈추게 하려면 필수)
- 가위
- 장갑과 마스크
- 바늘과 실
- 부목
- 압박 보조기
- 최근 처방약
- 정수용 정제
5. 비상 시 집밖으로 탈출할 때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도구
구조대원들을 좁거나 무너진 잔해를 옮겨야 할 수도 있다. 갖춰야 할 도구는 다음과 같다.
- 가스관용 렌치
- 튼튼한 망치
- 쇠지렛대
- 소화기
- 줄사다리
6. 비상상황을 보다 편하게 보낼 수 있는 기타 물품 준비하기
- 베게와 담요
- 앞이 막힌 신발
- 비닐봉지
- 일회용 식시, 접시, 컵
- 비상금
- 세면 도구
- 게임, 카드, 아이들 장난감, 필기구 등
- 무전기 ( 상황을 파악하고 경찰/ 소방서에 도움을 요청할 때 유용)
경고
- 애완동물이 이상 행동을 하는지 지켜본다. 무관심하게 돌아다니기, 바삐 뛰어다니기, 숨어서 안 나오기가 여기에 해당한다.
- 어떤 경우에도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에 집밖에 나오면 안 된다. 진동이 멎을 때까지 기다린다.
미얀마 7.7 지진 태국 방콕 지진으로 피해상황 총정리
안녕하세요. 정보를 주고싶은 연이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재난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가슴아프고 슬프다는 생각이 듭니다. 2025년 3월 28일 오후 12시 50분경, 미얀마 중부를 강타한 강력한 지진이
banhada486.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우절 유래 만우절 기프티콘 만우절 영어 장난 낚시, 장국영의 죽음 (4) | 2025.03.31 |
---|---|
서비스 품질 향상시키는 방법 (3) | 2025.03.30 |
강동구 싱크홀 사고 발생 땅꺼짐 대처방법, 생존을 위한 골든타임 (0) | 2025.03.25 |
토지거래허가제 뜻과 재지정, 서울시 향후 전망 (0) | 2025.03.20 |
제니 한국 공연 최소 14만 원 짜리 공연에 지각까지 (2) | 2025.03.18 |